그 동안 탈도 많고 말도 많았던 SKT의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가 지난 8월 25일, 방통위가 해당 서비스를 인가했다. 시작도 되기 전부터 많은 블로거들이 포스팅했던 것처럼, 분명 큰 이슈지만 70MB를 제한하는 것은 명확한 사실이고 이에 대한 우려와 불만도 많다. 가장 큰 불만은 이 ‘제한’이란 단어 때문이다. 하지만 모든 조건에서 무작정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다. 분명 제한이 풀리는 조건이 있다는 이야기지만 이에 대한 것은 제한이 된다는 것보다 많이 알려져 있지 않다. 이는 분명 무제한 요금제에 대한 내용을 처음 발표할 때 SKT의 설명이 부족했기 때문이었다. 그래서 SKT는 얼마전 몇몇 블로거에게 관련 내용을 설명했다.
![]() 그리고 제한이 풀리는 조건도 있다. 데이터 사용 독점자가 그 지역을 벗어나면 이 지역에 걸렸던 QoS 제한이 풀린다. 재미있는 사실은 데이터 사용 독점자도 그 지역을 벗어나 다른 지역으로 이동하면 70MB 제한을 받지 않는다는 것. 이 말은 더 이상 하루 제한 용량이 적용되지 않는다는 의미다. 또한 데이터 사용 독점자는 다른 지역에서 또 데이터를 독점한다면 다시 70MB 제한을 받을 수 있지만, 0MB에서 카운트 된다. 여기서 이야기한 지역의 기준은 150~200m 정도의 반경이고, 서울은 약 8천 개의 지역으로 구분되어 있다. 또한 구분된 지역과 지역 사이에는 핸드오버가 적용되어 전화나 데이터 서비스가 끊기지 않는다. 제한이 걸릴 확률 0.01%? 결국 한 지역에서 데이터 독점 사용자를 만날 확률이 중요해진다. SKT의 조사에 의하면 전체 스마트폰 이용자 가운데 1%가 전체 용량의 54%를 차지한다고. 또한 자체 시뮬레이션 결과 한 지역에서 전체 허용 용량의 54%를 차지하는 사용자를 만날 확률은 0.01%라는 것이 SKT의 주장이다. 만약 0.01%의 확률로 이런 독점 사용자를 만나면 그 지역은 70MB 제한을 받을 가능성이 있지만 중요한 전제인 ‘데이터 용량의 과도한 사용’이 아니라면 QoS는 작동하지 않는다. 이 시뮬레이션의 기준이 어떤 것인지는 확실히 알 수 없지만, 트래픽을 유발 시키는 것이 스마트폰만은 아니다. 태블릿PC의 본격적인 출시를 눈앞에 두고 있는데다 무제한 데이텅 요금제로 인해 걱정없이 사용할 수 있는 사람들은 트래픽을 과소비할 확률도 높아진다. 당연히 서비스 시행 이후 조금만 상황을 지켜보면 쉽게 답이 나오는 문제다. 여기에 더해 데이터 용량의 확충도 계획중이다. ![]() #콸콸콸일지 꼴꼴꼴일지는 조금 더 두고봐야 할 문제 SKT는 무제한 요금과 함께 음성과 데이터를 분리해 망을 관리하는 작업을 시작했다. 그 이유는 데이터 수용량을 2배 늘리는 것 외에도 음성과 데이터를 혼용해 망을 관리하면 음성 품질을 유지하기 위해 데이터에 더 많은 제약을 둘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여기에 데이터 용량을 늘리기 위해 현재 1개인 데이터 전용 주파수 할당(Frequency Assignment)을 3개까지 늘리고, 음성과 데이터를 동시에 수용하는 옴니 안테나 대신 데이터 전용 옴니 안테나를 추가해 수용용량을 늘리는 계획도 발표된 바 있다. 하지만 수용 용량이 늘어도 데이터 독점 사용자가 나타나는 지역은 분명 있을 것이다. 이에 대한 대비 책이 있으니 바로 펨토셀(Femtocell)이다. 이 펨토셀은 한마디로 무선 랜 공유기와 비슷한 개념이다. 초고속 인터넷 망에 무선 랜 공유기와 비슷한 펨토셀 장치를 설치하면 3G로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는 것. 과부하가 걸리는 지역에 이 펨토셀을 설치하면, 데이터 독점 사용자가 있어도 QoS가 작동하는 확률을 줄일 수 있는 것이다. SKT는 이 펨토셀을 직접 설치할 수 있고, 이용자가 요청하면 설치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SKT는 내년까지 5천~1만 대의 펨토셀 장비를 설치할 예정이다. 현재는 진정 국면에 들어섰지만, 한때 이 무제한 요금제를 두고 KT와 SKT는 설전을 벌였다. 당연히 서로 손에 쥐고 있는 무기가 다르기 때문이다. 물론 SKT 쪽도 KT의 1백만 개의 와이파이존을 구축해도 그 망을 쓸 수 있는 최대 지역은 전국토의 0.3%에 불과하다고 주장한다. 결국 데이터 무제한 서비스에서 가장 중요한 것은 이 QoS의 작동 빈도다. 물론 현재로서는 이 빈도를 알 수 없고 실제 운영을 통해서만 알 수 있다. 그래서 아직 욕을 할 시점은 아닌것 같다. 그리고 이 사실을 많은 사람들에게 미리 상세히 알렸다면 어땠을까? ![]() ![]() ![]() ![]()
|
Calendar
카테고리
VW Golf 2.0TDi 7세대 롱텀시승Early Editorial - 생각 I'm POMPU on U - 질러라 Review, 뽐뿌의 다른 이름 Neo Early - 잡다구리 맥초보의 삽질 노트 Mr. Motor Rising-자동차 PORSCHE 911-남자의 로망 Hungry Eyes - 영상 Soul of AUDIBLE - 음악 Talk Mixer - 모바일,핸폰 최고의 PDA, iPod touch 회사 직원들의 지름 미분류 메모장
이글루 파인더
이전블로그
2016년 04월2015년 05월 2015년 04월 more... 최근 등록된 덧글
일부러 논쟁 나오게 글 작성해서
..by 댓글 무지 많다 at 09/02 알고, 배우고, 익히려 일부 데려.. by 사울의칼 at 08/16 지금 2020 시점에 ARM 프로세서 이.. by newtv at 06/26 안녕하세요. 너무너무 공감가는 .. by 케이신 at 12/10 모든 것이 좋다. ㅎㅎ by 먹튀검증 at 12/05 신경 쓰지 마세요.ㅋㅋㅋㅋㅋ by 토토 at 12/05 간만에 웃었습니다 ㅎ by 메이저 at 07/06 우연히 검색하다 들어왔습니다. .. by 추억 at 06/21 마지막에 뿜었습니다 ㅎㅎㅎㅎㅎㅎㅎ by 꽁돈 at 05/12 꿀팁이네요 ㅎㅎ by 맥스맥스 at 05/10 최근 등록된 트랙백
스포츠카메라 고프로(gopro)by 고프로오빠야 아이폰5용 도킹오디오의 끝판왕,.. by bruce, 와이프 몰래 오븐을 지르.. 뱅앤올룹슨 디자이너의 유작, be.. by bruce, 와이프 몰래 오븐을 지르.. [리뷰] 올라소닉 USB 스피커 T.. by 까만거북이의 달리는 이야기 블루투스 무선 헤드폰의 종결자 -.. by 우리끼리 블로그 맥북에어 배터리 이야기.. by 미친병아리가 삐약삐약 장거리 출장에서 겪은 젠하이저 MM55.. by 칫솔_초이의 IT 휴게실 리더십오거나이저 버튼형 위클리.. by 나그넹(OIOFJI) 개인 뻘로그 스포츠카메라 고프로(gopro) by 고프로오빠야 Green World, 나부터 먼저 자.. by 정보사회학의 메카 라이프로그
| ||||